2020년 7월 27일
2020년 7월 27일
19:30~21:30
그로스쿨
🗓️ 윤재호님이 하는 공공입찰 마지막 강의입니다.
💸 지금 보시는 가격이 가장 저렴합니다.
제가 신입사원때는 사업은 돈 있는 사람들만 하는 건 줄 알았는데요.
회사를 다니면서! 주변을 보니까!
스타트업이나 아이디어가 좋으면 VC투자를 받거나 크라우드펀딩을 받기도 하고
제품이나 서비스가 괜찮으면 정부가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사업에 도전해서 돈을 받아내서 사업하고 하더라구요?
여러분 🤫공공입찰, 🤫공공조달, 🤫나라장터 이런 말 들어보셨어요?
여러분 대부분 👉B2C(기업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종 물품을 판매하는 방식)를 하고 계실거에요. B2C를 하다보면 아…소비자 한명한명에게 알리고 판매하기 너무 힘들다. 👉B2B(기업과 기업간에 이뤄지는 상거래)가 되면 좋겠다.라고 생각하실 거구요.
그러나 정말 현명한 분들은 B2G를 잘 이용하죠.
* B2G(기업과 정부 간의 상거래. 여기에서 ‘지(G)’는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 정부, 공기업, 정부 투자 기관, 교육 기관 따위를 모두 포함)
국내에서 정부보다 더 크고 안정적인 소비자가 있을까요?
2017년 정부는
①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혁신적인 물품/서비스를 개발 혹은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달제도를 마련하겠다.
② 창업/벤처기업/우수기술기업이 공공조달시장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혁신형 공공조달제도를 도입하겠다. 고 발표를 공식적으로 했어요.(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때부터였나요..
기본 준비와 요건만 있으면 누구나 진입이 가능하고 작은 기업들이 공공조달로 성공한 사례가 막 제 주변에 들리기 시작한게
2020년에는 왜 공공입찰(공공조달)에 도전해야 하나요? 아니 하다못해 알고 있어야 할까요?
가장 큰 이유는 국가에서 밀어주려고 하기 때문이죠
2020년에 정부가 공공조달 관련해서 어떤 정책을 하려는지 한번 볼까요?
👓국내편
① 정무경 조달청장이 120조원 규모 공공 조달 시장에 신기술 제품을 대거 도입해 혁신성장을 촉진시키겠다고 밝혔다. (기사 더 보러가기>)
지난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공공 조달시장 구매총액은 123조원에 달했다. 이 중 중소기업 제품 구매액은 94조원으로 전체 구매액 중 76%를 차지했다. (기사 더 보러가기>)
💡해외편
또 조달청과 관계를 맺어놓으면
① 올해 4분기 해외조달시장진출 유망기업 46개 사 지정해서 서포트한다거나
② 조달청과 외교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 주최하는 공공조달 수출상담회에는 29개국, 78개 해외 발주처 및 바이어, 250여개의 국내기업에게 기회를 줬는데
이렇게 해외까지도 노려볼 수 있게 되죠
심지어, 이런것도 나라장터(공공조달)로 할 수 있대요.
삼국유사의 고장 군위 학생체험여행상품 나라장터에 본격 판매
영주 관광상품, ‘조달청 나라장터’서 판매
만덕1동 공영주차장 조성공사, 2020년 특수검진 검체물 수탁검사 입찰외 나라장터 입찰 공고
OO 도자기공방 ‘OOOO’ 나라장터 등재
OOOOOO, 자사 RPA 솔루션 나라장터 조달 등록
공공입찰 이제는 쉽게 배우세요
그래서 20대 때부터 끊임없이 공공입찰에 도전해서(그것도 그 어렵다는 문화, 콘텐츠쪽)
여러 건의 공공입찰을 A부터 Z까지 다 경험한 윤재호님을 모시고 공공입찰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현 글링크미디어 HR 매니저
문화&교육 사업 개발 및 HRD 커리어
前 MOBIDAYS 직무 교육 기획 매니저
청년장사꾼 마케팅&교육 팀장
micimpact 교육본부 LAB 팀장
👇👇윤재호님이 했던 공공입찰 실적!
[ 기관 및 기업 공공 입찰 사업 ] *25억 예산 운용
· SK 사회적기업 행복나래 『사회적기업 역량과정 강화사업』 총괄
· Google 『Connect : Growth Milestones for Startup』운영
· 군산시청 『도시 재생 대학』 운영
· 용산구청 『우리동네 행복한 골목 만들기』 운영
· 서울디자인재단 『공예프리마켓』 운영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 기업가 페스티벌』 총괄
· 군산대학교 『프라임 사업단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총괄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생나눔교실』 총괄
· 부산경제진흥원 『부산창업카페2호점』 기획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소셜벤처 멘토링캠프』 기획
· 경기콘텐츠진흥원 『창의세미나S』 기획
· 한국콘텐츠진흥원 『크리에이터S 아이디어랩』 기획
· 한국콘텐츠진흥원 『Creator Runway』 운영
· 서울산업진흥원 『재미로 놀자 거리축제』 총괄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꿈의 오케스트라 이음캠프』 운영
[ 문화 예술 사업 ] *20억 예산 운용
· 모비데이즈 『Max summit』 운영
· 청년장사꾼 『열정도 공장』 야시장 운영
· KT 『청춘기업 토크콘서트』 운영
· SM ent. 『THE MOMENT : 특이한 하루』 운영
· 신세계그룹 『지식향연』 운영
· 현대자동차그룹 『군인의품격』 운영
딱 2시간으로 5년간의 공공입찰 노하우를 배워가세요!
예비 사업가 또는 초기 창업자에게 더 맞춘 거의 유일한 공공입찰 (공공조달) 실무 교육입니다.
제가 몸으로 겪은 입찰의 플로우와 주의해야 할 점, 강조해야 할 점 등 포인트만 콕콕 짚어 공개해드립니다.
강의를 만들게 된 이유
다른 좋은 교육들도 많지만 스타트업을 위한 실무 과목이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국내에서도 공개 교육으로 진행되는 유료 강의는 한 곳 밖에 없습니다.
1인 기업 또는 소기업들의 공공입찰에 대한 장벽이 낮아지고 있는 지금 누구보다 먼저 <공공입찰 사업> 비즈니스에 관심을 갖고 매출과 수익 전략을 세워 보세요.
사업자는 공공 입찰에 대한 실무 프로세스 전 과정을 파악하실 수 있게 됩니다.
실무자는 정부 사업을 하면서 겪을 수 있는 여러 실무적 상황에 대비해 준비할 수 있게 됩니다.
취준생은 콘텐츠 분야에서 일하는 기획자의 직무 내용에 대해 인사이트를 가지게 됩니다.
문화/교육 콘텐츠를 비즈니스 모델의 한 분야로 다루고 있는 예비 사업자 또는 초기 창업자
공공 입찰의 실무 흐름에 대해 잘 모르는 실무자
문화예술사업과 교육기획 그리고 대행사 분야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취준생
공공 입찰의 흐름과 실무 이해
1.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점검 : 우리가 하고 있는 비즈니스는?
2. 나라장터 입찰 사업 검색 : 공공 입찰은 어떻게 검색하나요?
3. R.F.P 검토 : 제안 요청서에서는 무엇을 꼼꼼히 확인해야하나요?
4. 구비 서류 준비 및 제안서 작성 : 제안서는 어떻게 써야 되나요?
5. 업체 선정 및 계약 완료 : 계약과 이행금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지나요?
6. 착수 보고 : 선정이 되면 가장 시작하는 업무는 무엇인가요?
7. 수행 계획서 : 클라이언트와는 어떤 자료로 커뮤니케이션 하게되나요?
8. 운영 매뉴얼 : 현장에서 준비되는 모든 내용은 어디서 알 수 있나요?
9.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및 실무 : 사업 담당자가 관리하는 디자인 관련 업무는 무엇이 있나요?
10.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및 실무 : 사업 담당자가 관리하는 미디어 관련 업무는 무엇이 있나요?
11.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및 실무 : 사업 담당자가 관리하는 마케팅 관련 업무는 무엇이 있나요?
12. 현장 운영
13. 결과 보고서 : 어떤 것들을 정리해야하고 어떤 내용을 써야 하나요?
14. 정산 보고서 : 정산.. 도대체 뭐가 이렇게 많은거죠?
15. 취합 및 제출 : 어떻게 마무리가 되나요?
👉🏻강의 안내
👉🏻기업 교육 안내
👉🏻결제 안내
👉🏻취소·환불 안내